안검하수(눈매교정술)과 쌍커풀 수술(쌍수)에 대한 정확한 차이 알고 계신가요? 쌍꺼플 수술과 눈매교정은 눈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수술입니다. 쌍꺼풀 수술은 눈꺼풀 피부층을 교정하는 것이며, 눈매교정술은 눈꺼풀 올림근 근육을 교정하는 수술입니다. 쌍꺼풀 수술로 무조건 선명한 눈매가 되는 것은 아니며, 눈매교정으로 쌍꺼풀 라인이 생기는 것은 아니기에 이 둘을 올바르게 구분하고 자신에게 적절한 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오늘은 안검하수와 쌍커플 수술에 대해 깊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검하수 쌍수 차이 알아보기

쌍꺼풀 수술
쌍꺼풀 수술은 눈꺼풀에 가로로 겹주름을 형성해 겹치는 피부만큼 눈의 세로폭을 키워 눈이 커 보이게 하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즉, 쌍커풀 수술은 미용적 효과를 기대하는 수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쌍꺼풀의 높이에 따라 인라인, 인아웃라인, 세미아웃라인, 아웃라인 등 본인의 얼굴에 어울리는 라인을 선택하여 수술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수술 방법은 자연유착법, 매몰법, 절개법 등이 있으며 눈꺼풀 피부 두께와 지방량, 피부 타입에 따라 자신에게 적합한 방법을 상담과 진단을 통해 수술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안검하수 수술
눈매교정은 눈을 뜨는 근육인 상안 검거근을 강화하는 수술로 안검하수 진단을 받은 경우 필요합니다.
눈을 들어 올리는 근육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안검하수 수술, 눈매교정 수술을 받게 됩니다.
안검하수는 눈꺼풀을 들어 올리는 힘이 부족해 눈동자의 노출량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앞을 보는 시야를 방해합니다. 이마 근육을 사용해 눈을 뜨거나 처진 눈꺼풀로 인하여 눈동자가 많이 가려져 있다면 안검하수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안검하수는 이마 근육으로 눈을 떠 이마주름을 유발하게 되고 눈이 다 떠지지 않아 피곤하고 졸려 보이는 인상을 주기 쉽습니다.
쌍커풀 수술과 안검하수 차이 정리
쌍꺼풀 수술이 윗눈꺼풀 피부를 접어 라인을 만들어주는 수술이라면 눈매교정 수술은 근육을 교정해 눈 뜨는 힘을 강화하는 수술이다.
안검하수 증상, 어깨결림, 두통까지 발생

안검하수는 눈꺼풀이 내려와서 앞을 보기 어려워지는 증상입니다.
이로 인해 안검하수 환자들은 처진 윗눈꺼풀을 올리기 위해 이마 근육을 이용해 눈썹을 치켜뜨는 버릇이 생깁니다.
이마에 주름이 생기는 경우가 많고, 가려진 눈꺼풀 틈으로 잘 보기 위해 턱을 들어서 보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눈 주위의 통증, 편두통, 후두부 통증, 어깨 결림, 얼굴 주변부의 통증이나 이명과 같은 증상 등을 발생시킵니다.
안검하수 요인, 선천적 요인과 노화로 인한 요인

선천적 요인으로 발생: 선청성 안검하수
선천적 원인으로 기인한 안검하수는 “선청성 안검하수”라고 불립니다.
원인은 눈꺼풀을 올리는 근육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고 대신에 딱딱하고 유연하지 않는 근육 섬유 조직이 많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선천적 안검하수 증상에는 눈꺼풀의 이상이나 눈의 움직임의 이상을 수반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눈꺼풀이 동공을 가리는 안검하수 증상이 있다면 동공을 가리에 되어 시력 발달을 방해하여 약시를 일으키는 일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라면 약시 예방을 위해 엄중한 경과 관찰을 필요로 하면 심한 경우에 따라서는 아기의 경우에도 수술을 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마르쿠스건 턱증후군
마르쿠스건 턱 증후군은 평소 눈꺼풀처짐이 있다가 특정하게 입을 움직이는 행동을 하여 처진 윗눈꺼풀이 위아래로 오르락 내리락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는 음식물을 씹을 때 사용하는 근육에 분포한 신경과 눈꺼풀을 들어 올리는 근육에 분포하는 신경이 비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생깁니다.
안면 근육과 눈꺼풀이 비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입과 눈이 동시에 움직이는 증상을 마르쿠스건 턱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급식 시간에 주변 친구들에게서 이 증후군으로 인하여 놀림과 괴롭힘이 발생할 수 있기에 사회적 대응을 위한 점에서 수술을 실시하기도 합니다.
노화로 인한 안검하수의 증상과 종류

성인이 된 이후 발생한 안검하수는 대부분 노화의 영향 때문입니다. 콘택트렌즈를 오랫동안 착용했거나 억지로 눈을 여는 행동을 한 분에게도 일어나기 쉬운 증상입니다.
눈꺼풀을 올리는 근육의 힘은 거의 정상인데 근육이 눈꺼풀에 달라붙는 힘줄 부분이 약해지거나 벗겨지거나 구멍이 뚫리는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외에도 안검하수 발생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 얼굴 신경 마비 : 뇌경색 등으로 눈꺼풀을 올리는 신경이 마비된 상태입니다.
- 녹내장 약 장기 점안 후 : 녹내장 약의 장기 사용 후에 발생하기 쉽습니다.
- 중증근무력증 : 신경과 근육의 연결부에서 신경 자극이 근육에 잘 닿지 않는 질병입니다.
- 호너증후군 : 눈꺼풀을 올리는 신경 중 하나인 교감신경이 잘 작동하지 않게 되었을 때 일어나는 안검하수입니다.
- 외상 후 : 직접적으로 눈꺼풀을 올리는 근육이나 힘줄이 끊어지거나 신경이 마비된 상태입니다. 끊어진 조직을 복구한 후 반년은 경과를 관찰합니다.
- 종양이나 이물질에 의해 눈꺼풀이 눌린 안검하수 : 각각의 치료를 실시합니다.
최근에는 안검하수가 널리 알려지면서 수술을 받는 환자들도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안검하수 수술은 결코 쉬운 수술이 아닙니다. 눈꺼풀의 높이와 모양, 좌우의 차이 등 수술 후 예측하기 어려운 경과를 밟게 되는 것이 보통이며, 한 가지 방법으로만 해결되는 것이 아니기에 진료의사와 정확한 상담을 통해 치료받아야 합니다.